파이썬에서 Flask를 시도해보는데, 템플릿을 변경하기 위해 html파일 생성이 필요하다. Jupyter Notebook에서 간단한 html file 생성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우선, html 코드를 준비한다. 아래와 같이 "Hello Flask!" 글을 굵은 글씨와 큰 글자 사이즈로 출력해주는 html코드이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ello Flask! 준비한 html 코드를 아래와 같이 코드안에 삽입한다. 기본경로에 html file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tml_text = """ Hello Flask! """ html_file = open('html_file.html', 'w') html_file.write(html_text) html_file.close()
코드에서 개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템플릿이다. 주로 붕어빵에 비유하여, 붕어빵을 객체로 비유하고 붕어빵틀은 클래스라고 비유한다. 사용방법 class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한다. 그렇지만, 아래와 같이 class만 선언할 경우 작동하지 않는다. 클래스를 정의하는 body 부분이 비워져 있으면 안된다. class example: pass를 기입할 경우, 유효할 수 있다. class example: pass 클래스 body에 self 키워드를 통해 메서드를 호출하고 변수에 access 할 수 있다. 객체에서 불러올 수 있는 메서드 중 더블언더스코어가 양쪽에 붙어있는 메서드를 dunder method(혹은 magic mathod, sepcial method 라고도 부르기도 함) 라고 한다. D..
주어진 상태의 진실성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사용방법 assert some_condition, assert_message some_condition 부분에 입증하고자 하는 상태를 입력하고, assert_message(optional) 에 오류가 발생할 때 반환할 메세지를 설정할 수 있다. 간단한 예제 fruits = ['apple', 'mango', 'orange'] assert 'lemon' in fruits, 'There is not present in fruits'
▥ 강화학습의 개념 위키디피아에서 정의하고 있는 강화학습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Reinforcement learning(RL) is an area of machine learning concerned with how intelligent agents ought to take actions in an environment in order to maximize the notion of cumulative reward. 강화학습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간 순서대로 환경에 가해지는 행동(action)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시간변수는 불연속시간변수(discrete-time)를 가정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시간스텝마다 행동이 가해지기 때문에 순차적 의사 결정 문제(sequential de..